본문바로가기
Export & Import Info Center - 대한민국 수산물 수출입 발전에 한국수산무역협회가 앞장서겠습니다.

해외시장정보&무역통계

 

수출입 통계자료 해외시장동향 비관세 및 FTA ※ 자료만 선택하실 경우 해당 자료 전체를 보실 수 있습니다.
선택완료
통합공고 목록 자세히 보기
[해외시장동향] 떠오르는 인도, 뜨는 식품가공업

2017.07.07

인도

떠오르는 인도, 뜨는 식품가공업
2017-06-22 임성식 인도 뉴델리무역관

- 인도 식품산업은 고성장, 고수익을 내는 분야 -
- 식품가공 관련한 기계류 수출 기회 모색해 볼 필요 -

 

 


□ 인도 식품가공 산업 동향


  ㅇ 인도 식품가공 산업 개요
    - 토지 면적은 1억5970만 헥타르(3946만 에이커)인데 이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넓은 면적임. 또한 인도는 

식품가공산업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원재료들을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으며 원재료에는 망고, 파파야, 감자, 양

파, 생각, 병아리 콩, 쌀, 통밀, 땅콩을 포함해 과일, 야채, 콩류, 유제품 등이 있음.
    - 인도 식품가공 산업은 인도 전체 식품시장의 32%를 차지하고 있으며, 인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산업 중

하나임. 해당 산업은 생산, 소비, 수출, 잠재성장률 측면에서 전 산업에서 인도 내 5위를 차지했음. 인도 브랜드

자산재단(IBEF, India Brand Equity Foundation)에 따르면, 회계연도 2016/17에 식품가공 산업은 인도 제조업

GDP의 8%를 차지했음.

 

인도 가공 식품 관련 이미지

external_image 

external_image 

주: (좌)인도 식료품점 매장에 진열된 가공식품, 

(우)제과공장을 방문한 나렌드라 모디 총리 

자료원: (좌)Economic Times, (우)IBTL

 

 
  ㅇ 인도 식품가공산업 시장규모
    - 인도 브랜드자산재단(IBEF)은 회계연도 2015/16에 의하면, 인도 식품가공분야(식품 유통 포함)가 2580

억 달러로 성장해 2020년까지 4820억 달러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음. 유로모니터(2017)에 따르면, 식품

가공 산업 내에서도 특히 가공식품이 대부분인 인도 포장식품 산업(Packaged Food Industry)은 2016년에 16.9

% 성장한 538억8000만 달러에 도달했음.


    - 인도 식품가공부(MOFPI, Ministry of Food Processing)는 식품가공 산업 내 하위분류를 구분해 발표했으

며 내용은 다음과 같음.

 

인도의 가공식품 구분 

연번

식품 구분

가공식품 종류

1

과일 및 야채

음료주스농축액과육슬라이스냉동 및 건조물와인감자칩류 등

2

어류

주로 신선한 형태의 냉동 및 통조림 제품

3

육류 및 가금류

냉동 및 포장식품계란 분말

4

우유 및 유제품

분유탈지분유연유아이스크림버터버터기름(Ghee)

5

곡물 및 곡물류

밀가루제빵제과비스킷전분포도당콘플레이크맥아 식품버미첼리파스타류맥주 및 맥아 추출물곡물 베이스의 주류

6

소비자 식품

포장 식품포장 물초콜릿과자류청량음료탄산수

 자료원: 인도 식품가공부(MOFPI, Ministry of Food Processing)

 


주요 포장 식품류 매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단위: 백만 달러, %)

연번

식품 분류

2014

2015

2016

성장률'15/'16

1

제과제빵

1,670

1,840

1,990

8

2

시리얼

180

220

270

20.2

3

과자류

2,700

3,100

3,560

14.8

4

유제품

11,650

13,481

15,244

13.1

5

식용유

10,616

13,198

16,160

22.4

6

아이스크림 및 빙과류

1,123

1,312

1,570

19.6

7

파스타 및 면류

3,486

3,706

4,550

22.8

8

소스드레싱조미료

1,475

1,757

2,032

15.7

9

조미된 스낵

2,597

3,169

3,814

20.3

10

비스킷스낵바과일스낵

2,983

3,270

3,538

8.2

-

전체 포장식품

39,441

46,167

53,984

16.9

주: 전체 포장식품 중 주요 식품군 10곳의 매출 정보임

자료원: Euromonitor Report Packaged Food in India Feb. 2017 
    

□ 인도 식품가공 시장의 특징 및 수입동향 

 

  ㅇ 변화하는 소비자 트렌드 
    - 청년 인구의 증가: 2015년 기준으로 인도 인구의 평균 나이는 27세임. 이들 청년 소비자층은 장년층 및 노년

층 대비 구매 패턴 및 소비 습관이 완고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을 시도하고 있음. 이는 도시화 및 기술 발전과

도 관련이 있음. 또한 청년층은 브랜드 의식이 강하고 세계화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, 이는 스낵류 및 아침식사용 시

리얼의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음.
    - 온라인 유통의 시작: 인도에서 온라인으로 식품을 주문하는 산업은 초기 단계이지만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

음. 리서치 기업인 레드시어 컨설팅(RedSeer Consulting)에 따르면 2016년 온라인 식품 배달산업은 전년 대비 150

% 성장하면서 총 매출액(GMV, Gross Merchandise Value) 약 3억 달러를 기록했음. 하지만 2016년 기준, 인도에서

가장 큰 식품유통경로는 여전히 독립적인 구조의 소규모 식료품점들임. 현대식 식료품점이 존재하지 않는 농촌지역

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 소규모 식료품점의 점유율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. 온라인 유통업은 현재 인도의

전체 가공식품 산업에서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쌀, 파스타 및 면류, 조미된 스낵과 같은 부문에서 조금씩 성장

하고 있음.
    - 농촌 지역의 수요 증가: 가처분 소득의 증가와 함께 제조업체들은 점점 더 농촌 지역에서 기회를 모색하고 있

음. 아울러 소포장 유형의 가공식품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작은 지역의 고객도 끌어오기 위해 식품 산업 전

반에서 보편화되고 있음.

 

  ㅇ 수입 동향
    - 식품 가공 산업 내 수입 제품의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 가공식품의 수입 동향은 아래 표와 같음.

 

주요 가공식품 수입 동향(단위: 백만 달러)

연번

제품

HS Code

2014

2015

2016

증감률

2016/2015

1

기타의 조제식료품

21

122

129

150

16.28

1-1

추출물농축 커피

2101

11

9

15

74.74

1-2

효모

2102

11

13

17

33.42

1-3

소스류

2103

12

14

16

15.96

2

기타 식품재료 농축물

2016

82

89

98

10.16

3

초콜릿 및 코코아 파우더

1806

92

74

69

-6.97

4

설탕 제과

1704

17

16

18

14.85

5

파스타

1902

15

14

15

7.64

주: 1번 항목은 1-1부터 1-3까지 제품군의 상위품목으로써 전체 수입품 중 가장 많은 비중을 

차지하고 있으며, 하위항목 내 상위 3위까지 제품군(1-1부터 1-3)을 표기했음.

 자료원: Global Trade Atlas


  ㅇ 인도에 유통되는 주요 수입 식품사례

 

연번 

식품분류 

기업명(국가) 

제품사진 

1 

시리얼 

Post Oats

(미국)  

external_image 

2 

시리얼 

Batchelos

(영국)  

external_image 

3 

유제품 

Puke

(UAE)  

external_image 

4 

유제품 

London Diary

(영국)  

external_image 

5 

조미된 스낵 

LAdy Liberty

(미국)  

external_image 

6 

조미된 스낵 

Huober

(독일)  

external_image 

7 

비스킷스낵바과일스낵 

Lindt

(미국)  

external_image 

8 

비스킷스낵바과일스낵

Ferrero Rocher

(이탈리아)  

external_image 

9 

비스킷스낵바과일스낵

Hershey's

(미국)  

external_image 

10 

비스킷스낵바과일스낵

Delft

(UAE)  

external_image 

11 

비스킷스낵바과일스낵

Haribi

(독일)  

external_image 

12 

파스타 및 면류

Cipriani

(이탈리아) 

external_image 

13 

파스타 및 면류

 

Koka

(싱가포르)  

external_image 

14 

파스타 및 면류

 

Pantal

(태국)  

external_image 

15 

파스타 및 면류

Pincnic

(태국)  

external_image 

16 

파스타 및 면류

Mama

(태국)  

external_image 

17 

소스드레싱조미료

농심

(한국)  

external_image 

18 

소스드레싱조미료

Kraft Foods

(미국)  

external_image 

19 

소스드레싱조미료

Santa Marta

(이탈리아)  

external_image 

20 

소스드레싱조미료

Alfez

(UAE)  

external_image 

21 

소스드레싱조미료

Real Thai

(태국)  

external_image 

 자료원: KOTRA 뉴델리 무역관 조사(하리아냐 주 구르가온 내 쇼핑몰, 소매점 수입품 조사)


□ 인도 정부의 식품 산업 관련 규제완화 동향

 

  ㅇ 외국인직접투자(FDI) 규제 완화
    - 2016년 6월 인도 정부는 인도 내(Made in India) 식료품 제조 및 전자상거래 부문에서 정부 승인 아래 최대 100

%의 FDI를 허용했음. 이후 인도 정부는 아마존(Amazon), 그로퍼스(Grofers), 빅바스켓(Big Basket) 등 3개 기업으로

부터 총 6억95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제안 받았음. 특히 아마존의 경우 식품 유통과 관련해 5억3800만 달러의 투자

를 제안하면서 인도 내 입지를 굳히기 위해 노력했음. 미국에 본사를 둔 대형 유통업체 아마존은 인도 내 주요 전자상거

래 업체로써 다양한 제품 거래의 선두주자이며, 그로퍼스(Grofers) 및 빅바스켓(Big Basket)의 경우 온라인 식품유통 

산업에 주력하고 있음.
    - 앞서 인도는 2016년 4월에서 12월 사이 9개월 동안 식품가공 부문에서 총 6억6323만 달러의 FDI를 유치했으며,

현재 현지 생산된 조제식료품 및 비누·샴푸를 포함한 비식품 소비재의 유통에 대해 FDI 규제 완화를 고려하고 있음. 인

도 식품가공부(MOFPI, Ministry of Food Processing)의 할심라트 카우르 바달(Harsimrat Kaur Badal) 장관은 특정 조

건 아래 외국 유통업체의 전체 재고물량의 20~25%를 현지생산 비 식료품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규정을 연

방 정부에 제안했는데, 조건은 외국 유통업체가 농민 및 어민(Farm gate level)에게 인프라 및 기술 등을 투자한다는 

내용을 담고 있음. 이 제안의 최종 결정은 추후 식품가공 및 재무 관련 정부 부처와 상공회의소 등에 의해 내려질 예정

임. 해당 제안은 월마트(Walmart), 테스코(Tesco), 메트로 캐쉬 앤 캐리(Metro Cash and Carry), 오샨 그룹(Auchan G

roup)을 비롯한 글로벌 유통업체들이 인도 내 지점 설립 의지를 표명한 이후에 이루어졌음. 
    - 인도 정부는 비하르(Bihar), 마하라슈트라(Maharashtra), 히마찰 프라데시(Himachal Predesh), 차티스가르(Chh

attisgarh) 주 내 5개의 'Mega Food Park' 산업단지 조성을 승인했으며 향후 3~4년 내 42개의 추가 식품산업단지 조성

및 236개의 통합형 저온 유통(Cold Chain) 구조 설립을 계획하고 있음.
    - 인도 식품안전기준청(FSSAI, The Food Safety and Standards Authority of India)은 저품질 제품의 진입 우려를

해소하기 위해 '2017 식품안전 및 수입표준 규제(Food Safety and Standards Regulations 2017)'를 새로이 발표했음.

해당 규제를 통해 남은 보관수명(Shelf Life)이 60% 미만인 식료품 수입이 제한되는 등 저품질 제품에 대한 규제는 강

하는 한편, 식품 라벨링 관련 허가조항 및 통관 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간소화될 예정임.

 

  ㅇ 기타 정부 이니셔티브
    - 연방 예산안 관련 계획: 인도 정부는 2017/18 연방 예산안을 통해 800억 루피(12억 달러) 규모의 유제품 가공 인

프라 펀드를 설립했음.
    - 인도 식품안전기준청(FSSAI): 인도 식품안전기준청은 식품 위생검사 인프라를 확장하기 위해 48억2000만 루피

(7415만 달러)를 투입할 예정으로, 현존하는 59개의 식품위생검사기관을 개선하고 62개의 이동검사기관을 설치할 예

정임.
    - 인도 상품수출계획(MEIS, Merchandise Exports from India Scheme): 아울러 인도 정부는 인도 상품수출계획의

일환으로 해안 도시를 중심으로 한 어업 관련 기관을 설립하고, 수산물 관련 수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조치

를 취할 예정임. 이에 따라 150억 루피(2억3070만 달러)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임.


□ 시사점

 

  ㅇ 인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, 떠오르는 인도 식품가공 시장

    - 2014년에 취임한 모디 정부는 인도의 빠른 경제성장 상황에서 벌어지는 도농 간 소득 격차를 매우 우려하고 있

으며, 농촌지역의 발전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. 

    - 인구의 절대 다수가 농업에 종사하는 상황에서 식품가공업은 제조업을 부흥과 농가 소득 보전이라는 두 마리 토

끼를 잡을 수 있는 핵심산업으로 떠오르고 있음.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인도 정부는 식품가공업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

않고 있으며, 글로벌 기업의 진출 또한 적극 유치하는 상황임. 

 

 

  ㅇ 식품가공 기계 관련 산업 전망 밝아 
    - 현재 인도 식품산업에서 아침식사용 시리얼, 제과류, 조미된 스낵, 쌀, 면류 및 파스타가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 

건강식품 및 건강 보조식품 또한 인도에서 새로이 떠오르는 제품군임. 
    - 식품 및 식품가공 기술, 기술 개발 및 장비 부문에서 대규모 투자 기회가 있는 상황이며, 주요한 식품가공분야는 

통조림, 유제품 및 식품 가공, 특수가공, 포장, 냉동식품, 냉장 및 열처리 기술임.
    - 식품가공 기계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음. 특히 식품, 음료, 유제품, 치즈, 요거트, 육류 및 육가공 제품 및 곡

류 부문 관련 가공기계의 수요가 두드러짐. 따라서 식품가공과 관련한 기계류 수출 기회를 모색해볼 필요가 있음.

 

 

작성자: KOTRA 뉴델리 무역관 임성식 과장, Jaya Soin S.Mng


자료원: 인도상공회의소연함(ASSOCHAM), 인도브랜드자산재단(IBEF), 유로모니터 보고서(Euromonitor report on 

Packaged Food Feb 2017), 인도 식품가공부(MOFPI, Ministry of Food Processing), 레드시어 컨설팅(RedSeer 

Consulting), 2017/18 연방 예산안, 인도 식품안전기준청(FSSAI), 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 


목록

주요 수출 상품 목록 자세히 보기
다음 글 인도 수산물 수출업계, 미국 전자상거래 디지털세에 대한 저항
이전 글 2016 매기라면 사태로 야기된 인도 식품수입규정 강화 및 한국식품의 對인도 수출여건